茶의 세가지 보배 茶의 세가지 보배 차에는 세 가지 보배가 있습니다. 첫째는 세상이 하나의 관계, 즉 모든 것은 모든 것과 관계있고, 그 관계는 상생임을 알게하는 고마움이지요. 차살림은 평등이라는 이상을 꿈꿉니다. 둘째는 검약입니다. 차잎을 따고, 차를 만들고, 차달여 나눠 먹고 하는 차살림은 곧 .. 茶香萬里 2017.12.13
우리의 차 이름 찻잎을 따는 시기에 의한 차 이름 ㆍ작설차(雀舌茶) : 곡우(양력 4월 20∼입하 5월 6일)사이에 채취한다. ㆍ입하차(立夏茶) : 입하 때 채취(양력 5월 6일∼5월 8일)...다신 계절 목에 나옴 ㆍ사전차(社前茶) : 춘분 전후 술(戌)일 이전에 딴 차(3월 21일) ㆍ기화차(騎火茶) : 한식(4월 5일∼6일, 동지.. 茶香萬里 2017.12.13
부휴당 차시 獨坐深山萬事輕 掩關經日學無生 生涯點檢無餘物 一椀新茶一卷經 깊은 산 홀로 앉아 온갖 일 던져두고 문 닫고 날 보내며 덧없음을 배우노라. 한 평생 돌아봐도 남은 것 하나 없고 한 사발 새 차와 한 권 경전 뿐이로다. -부휴당(浮休堂, 1543-1614)- 깊은 산 속에 사는 스님은 홀로 앉아 아무 .. 茶香萬里 2017.12.13
혈액형에 맞는 차 A형의 특징은 위산 분비가 적어 소화가 잘 안된다는 것. 따라서 위산 분비를 촉진시키는 커피가 살빼는데 효과적이다. 커피 제대로 마시기 1. 커피에 설탕이나 프림을 타지 않고 찻잔 바닥이 맑게 비칠 정도로 연하게 탄다. 2.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2잔 마신다 -> 공복에 마시는 커피? 카.. 茶香萬里 2017.12.13
백산차 추사가 세한도를 그려주었던 제자 이상적이 지은 <백산차가> 「백산차가, 사박경로(白山茶歌, 謝朴景路)」 我曾九泊燕河槎 내 일찍이 아홉 차례 연경 행차 참예하여 嘗盡天下有名茶 천하의 이름난 차 죄다 모두 맛보았지. 十二街頭茶博士 열 두 거리 길가에는 차박사(茶博士)들 .. 茶香萬里 2017.12.13
그대를 위한 찻 잔/이영학 그대를 위한 찻 잔/이영학 가슴에 엉긴 그리움의 송진을 거둬내어 향내나는 청솔불을 밝히고 여윈 달빛으로 한밤 내내 아궁이에 불지폈습니다. 산안개로 밀어오는 새벽 사윈 숯가마의 온기 채 가시지 않은 어둡고 깊은 가마속에서 그대를 위한 찻잔을 골라냅니다. 행여 아픔으로 금간 것.. 茶香萬里 2017.12.13
한잔의 작설차 속에서 / 김필곤 한잔의 작설차 속에서 / 김필곤 한 잔의 작설차 속에서 서느로운 깃털이 날아 오른다. 내 속뜰을 적시는 작설차 속에서 죄와 절망은 껍질을 벗고 눈부신 자유를 반짝거린다. 정라한 고독의 작설차 속에서 무거운 죽음도 가벼워지고 하찮은 풀잎도 사랑이 된다. 밤이 이슥토록 싸락눈이 오.. 茶香萬里 2017.12.13
靈芽茶(영아차) /李穡(이색) 靈芽茶(영아차) /李穡(이색) 同甲老彌親 靈芽味自眞 淸風生兩腋 直欲防高人 동갑 나이로 늙으니 더욱 친하다. 영아차의 맛은 스스로 진미여서 양 겨드랑이에서 맑은 바람이 나 바로 높은 사람을 찾으려 한다. 출처 - 한국의 차문화 품격 높은 영아차를 마시면 신선이 될 수 있다는 다미(茶.. 茶香萬里 2017.12.13
제승사(題僧舍)-이숭인(李崇仁) 제승사(題僧舍) -이숭인(李崇仁, 1349-1392)- 山北山南細路分 松花含雨落繽紛 道人汲井歸茅舍 一帶靑煙染白雲 산 위 산 아래로 소롯길이 갈려 있고 비 머금은 송홧가루 어지러이 떨어진다. 도인이 물을 길어 띠집으로 가더니만 푸른 연기 한 오리 흰 구름 물들이네. 산 아래 위로 오솔길.. 茶香萬里 2017.12.13
단양일집관헌(端陽日集觀軒)-이덕무(李德懋) 단양일집관헌(端陽日集觀軒) -이덕무(李德懋, 1741-1793)- 的的榴花燒綠枝 緗簾透影午暉移 篆烟欲歇茶鳴沸 政是幽人讀畵時 이글이글 석류꽃 초록가지 태우고 발 사이로 얼비치며 낮 그림자 옮겨가네. 고물고물 연기 멎고 보글보글 찻물 끓어 이 바로 유인(幽人)이 그림 구경 할 때일세. .. 茶香萬里 2017.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