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에 끌려간 조선 도공이 만든 `찻사발`에 한글시, 뜻풀이 2009년 2월 18일(수) 오후 3:11 [중앙일보 김용범] 임진왜란 당시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 도공의 삶을 보여주는 한글 시(詩)가 들어가 있어 화제가 된 ‘한글명문(銘文) 찻사발’. 이 찻사발에 들어간 한글 시의 내용이 분석됐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지난해 일본 고미술품 수집가인 고(故) 후지.. 茶香萬里 2018.04.16
차(茶)에 얽힌 이야기| 말차 여린 녹차잎을 따서 수증기에 쪄서 곱게 가루를 내어 다완에 넣고 솔(차선)으로 거품을 내어 마시는 차 다완은 일본에서 널리 유행하였고 임진왜란은 저 다완을 빼앗기 위한 도자기 전쟁이라고도 한다. 실제로 우리의 수많은 도공이 일본에 끌려갔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천민으.. 茶香萬里 2018.04.16
다완(茶碗, tea bowl): 조선시대(朝鮮時代) 다완(茶碗, tea bowl)은 차를 마실 때 사용하는 잔 또는 사발을 일컫는데, 당나라 육우의 다경에서도 이미 다완의 존재는 있었으며 이 당시에는 자다법이 음다방식으로 사용되었던 관계로 차의 푸른 빛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월주요의 청자다완이 당백자로 유명하던 형주요의 백자보다 우위.. 茶香萬里 2018.04.16
우리나라 차의 종류 우리나라에서 차는 고려청자처럼 차를 만드는 제다법이 잊혀진 것으로 보면 될 것 같은데, 그 시기는 고려말이나 아니면 임진란을 전후한 시점인것으로 추정된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이 대규모 다원을 운영하면서 차를 재배하고 만들었지만 그 기술을 전해주지 않은 상태에서 해방.. 茶香萬里 2018.04.16
한방 건강차. 추위에 긴장한 몸을 따뜻하게 풀어주고 마음을 편안하게 감싸주는 한방 건강차. ◆ 계피차 특유의 향으로 음식에 다양하게 활용되는 계피는 뜨거운 성질이 있어 몸의 냉기를 풀어주고 몸을 따뜻하게 해준다. 또한 검색하기" class="keyword"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ED%98%88%E.. 茶香萬里 2018.04.05
竹林茶會 - 潭園 金昌培 潭園 김창배 - 竹林茶會 茶香萬里 一筆揮之 得意滿面 손지우손(損之又損) 재화종죽(栽花種竹) 진교환오유선생(塵交還烏有先生). 망무가망(忘無可忘) 분향자명(焚香煮茗) 총불문백의동자(總不問白衣童子). 욕심을 덜고 덜어 꽃 가꾸고 대나무 심으니 오유선생 되어가고 세상 일 잊고 잊어.. 茶香萬里 2018.02.26
[장상인의 일본 탐구] 사카이에서 만난 차 문화 [장상인의 일본 탐구] 사카이에서 만난 차 문화 ‘잘못했다고 한 번만 빌어라’는 히데요시 거부하고 할복한 센노리큐 “당신은 내 다도를 범접 못한다” 말차를 대나무 막대로 저어 거품을 내는 일본 여성. 국경선을 의미하는 사카이(堺)를 다녀왔다. 오사카(大阪)와 맞닿아 있는 항구도.. 茶香萬里 2018.02.18
고려차맷돌(高麗石製茶硏) 차 문화가 번성한 고려 시대에는 뜻이 맞는 벗에게 차를 가는 맷돌이나 물 끓일 때 쓰는 철주전자를 선물하는 풍습이 있었다. 이규보도 맷돌을 받고 감사의 뜻으로『사인증다마(謝人贈茶磨)』라는 시를 썼다. 茶香萬里 2017.12.15
가을날의 홍차 쌀쌀한 가을바람이 따뜻한 차 한 잔을 생각나게 하는 계절이다. 티폿에 찻잎을 우려내 미리 데운 찻잔에 조심스럽게 따른 맑고 향기로운 홍차 한 잔이 우아한 시간을 선물한다. 영국의 홍차 이야기 영국에 차 문화의 씨를 뿌린 사람은 포르투갈 출신의 왕비 캐서린이다. 그녀가 1662년 영.. 茶香萬里 2017.12.13
독좌봉인다부시(獨坐逢人茶賦詩)/ 김시습 독좌봉인다부시(獨坐逢人茶賦詩)/ 김시습 홀로 앉아 있다가 사람을 만나서 차를 마시며 지은 시 兩耳聊聊獨坐時 (양이요요독좌시) 半簾斜日映花枝 (반렴사일영화지) 年來漸覺無拘束 (연래점각무구속) 滿肚幽懷卽是詩 (만두유회즉시시) 두 귀에 아무런 들림 없이 홀로 앉아 있을 때 .. 茶香萬里 2017.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