常識倉庫 48

​​민법상 물권

​ 민법상 물권에는 점유권,소유권,지상권,지역권,전세권, 유치권,질권,저당권의 8종류가 있다. ​ ​ 점유권 물건의 사실상 지배(점유)가 있으면,그것이 법률상 정당한 권리 (소유권,전세권등)에 기한 것을 묻지 않고 그 사실적 재배를 하고 있는 자에게 법률상 당연히 인정되는 권리를 말한다. 소유권 소유자가 소유물을 법률의 제한 내에 있어서 자유로이 사용.수익.처분할 수 있는 물권을 말한다. 용 익 물 권 지상권 타인의 토지에 건물 기타 공작물이나,수목을 소유하기 위해 토지를 사용할 수 있는 용익물권을 말한다. 지역권 통행이라든가 인수와 같은 설정행위로서 정해진 일정한 목적에 따라서 타인의 토지를 자기토지의 편익을 위해 이용하는 용익물권을 말한다. 전세권 전세금을 지급하고 타인의 부동산을 점유하여 그 부동산..

常識倉庫 2021.10.26

브랜드로 재탄생한 신화

스타벅스▶세이렌 사람들을 유혹하는 중독적인 커피맛 스타벅스 로고는 그리스 로마 신화 속 바다의 요정 세이렌 이다. 아름다운 노랫소리로 선원들을 유혹해 죽이는 치명적인 세이렌처럼 중독적인 커피 맛으로 사람들을 유혹하겠다는 뜻 베르사체▶메두사 눈을 뗄 수 없을 만큼 강렬한 패션 메두사는 아테네 여신의 저주를 받아 눈을 마주친 사람을 돌로 굳게 만든다. 베르사체는 한번 본 순간 눈을 뗄 수 없을 정도의 강렬함을 지녔다는 뜻에서 로고에 이를 새겼다. 네이버▶헤르메스 신속한 정보 전달을 의미 신과 신, 신과 인간의 소통을 담당하고 제우스의 메시지를 전하는 전령의 신 헤르메스의 페타소스를 상징. 날개 달린 모자 페타소스, 날개 달린 신발 탈라리는 빠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나이키▶니케 열정적인 스포츠 정신과 승리..

常識倉庫 2021.06.03

칼림바란?

칼림바는 고대 아프리카, 정확히는 짐바브웨와 모잠비크의 민속악기다. 약 3,000년 전 나무나 대나무 등으로 만들어진 이 악기는 지난 수천 년 동안 아프리카의 여러 지역에서 개발되고 연주돼 왔다. 나무 대신 쇠를 재료로 만들기 시작한 시기는 약 1,000년 전으로 알려져 있다. 양손에 쥐고 연주할 수 있는 가볍고 작은 크기 덕분에 언제 어디서든 연주가 가능하다. ‘칼림바’ 라는 이름 역시 반투어(반투부족)로 '작은 음악'이라는 뜻이다. 지난 3천 년 간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되어 온 칼림바 칼림바는 엄지손가락으로 얇고 가는 판을 튕겨서 소리를 내는 타악기이자 자신의 몸을 진동해 소리를 내는 체명악기(體鳴惡器)다. 타악기는 인류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악기로 꼽힌다. 원시인들이 춤이나 외침소리에 손뼉을 치고..

常識倉庫 2021.05.18

향명/학명/변종/품종/잡종/식물의종/분류/린네/이명법

한 국가나 지역에서만 불려지는 이름 1.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이름 2. 라틴어 사용 : 더이상 생활어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3. 린네의 이명법 사용이 시작이었다. 4. 학명 구성 : 속명(대문자시작)+종명(소문자시작)+명명자이름 1. 나무를 분류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원리 2. 종이란 자신이 고유한 형질이 다음 자손에게 유전되어야만 비로소 독립된 종으로 간주한다. 3. 종 → 속 → 과 → 목 → 강 → 문 나무의 형태가 변해서 나타나는 경우이며, 그 변한 형태가 다음 세대로 유전된다. 대개 꽃이나 열매의 색깔 및 수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 서로 가까운 유연관계가 있는 종들 사이에서 태어난 것 식별 + 명명 + 계급화 [출처] blog.naver.com/syj6459/221063429497

常識倉庫 2021.05.03

나이테/추재/춘재/심재/변재/목부/사부/수피/주피/형성층

- 나이테 1. 추재 : 나이테의 짙고 가는 부분. 늦가을/가을 2. 춘재 : 나이테의 옅고 넓은 부분. 봄/여름 -두 부분을 합치면 1년 동안 나무가 자란 크기가 된다. 3. 심재 : 안쪽으로 밀려들어가 물/양분을 이동시키지 못하는 곳. 어두운 색을 띈다. 4. 변재 : 나이테의 바깥부분으로 밝은 색을 보이며 물과 양분이 이동하는 곳이다. -목부(도관부) : 물 이동 -사부(체관부) : 양분 이동 -수피 : 나무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 -주피(코르크층) : 지나친 수분 증발을 방지 한다. 태왕광/추위로부터 보호한다. 버섯균/곤충공격 방지한다. -형성층 모든 조직과 기관은 형성층 세포조직이다. 정확하게 말해서 전형성층에서 시작된다. 형성층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세포분열이다. 형성층 조직이 계속 분화해서 목..

常識倉庫 2021.05.03

한옥 지붕의 종류

■ 지붕의 개념 지붕은 눈비가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고 뜨거운 태양열을 차단시켜주는 역활을 한다. 한옥은 처마가 많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지붕이 대단히 크고 육중하다. 또 흙으로 구운 기와를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로도 중량이 많이 나간다. 이러한 무게감을 없애주고 빗물의 신속한 배수를 위하여 처마의 앙곡과 안허리곡이 생겼지만 이러한 지붕의 곡선은 또한 지붕이 날렵하고 율동적으로 보이게 하여 무게감을 덜어주는 시각적인 역활을 한다. 지붕의 종류와 모습 지붕 모양에는 맞배지붕, 팔작지붕, 우진각지붕 등의 기본형이 있다. 삼국 시대부터 우리 목조 건축은 대부분 엄숙하고 경건한 기풍의 맞배지붕이었습니다. 그러다 고려중기에 날아갈듯한 화려한 멋의 팔작지붕이 나타난다. 1. 맞배지붕 1. 맞배지붕 : 지붕의 앞면..

常識倉庫 2021.03.12

한옥 마루의 종류

한옥의 마루에 대해서 한옥의 마루에는 대청마루,누마루,툇마루,쪽마루,헌함이 있다. 간혹 마루의 이름을 잘못알고 부르는 사람들이 있는데 정확한 마루의 이름을 적어본다. 대청마루. 대청마루는 보통 가장큰 마루을 뜻하는데 이것은 집의 구조중에 한칸또는 여러칸을 마루를 깔아서 만든것이다. (대청마루) 누마루. 높은 누대위에 마루를 깐 것을 말하며 이것은 대청마루랑 연결되어 있기도 하다. 보통 누마루에 돌란대를 두루고 계자 난간을 사용하기도 한다. (관가정의 누마루) 툇마루. 툇마루는 기둥안에 길게 연결된 마루를 뜻하는데 보통마루의 바깥쪽은 터 놓기도 하지만 창호를 달아서 현대의 건축물의 복도의 형식을 취하기도 한다. (기둥 안쪽에 위치한 마루= 툇마루) 쪽마루. 쪽마루는 기둥바깥에 평상을 붙여서 만든 마루를 뜻..

常識倉庫 2021.03.07

700년전 난파선 실렸던 자단목

[문화재 뒤안길] 700년전 난파선 실렸던 자단목 서울경제 2020-10-18 신안 앞바다서 건진 불상용 목재...교역항로 입증 지난 1323년 난파된 무역선 신안선에 실려 700여년 바닷속에 잠겨 있다 발굴된 자단목 8톤가량이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 소장돼 있다. /사진제공=문화재청 향은 연기가 하늘로 피어오르는 모양과 마음을 안정시키는 냄새가 종교적 감성을 높여줬기에 일찍이 국가 제례나 종교의식에 널리 사용됐다. 그 원료인 향나무는 구하기 어려운데다 수요가 많았기에 일찍부터 중요한 교역물품이었고 동남아시아에서 생산돼 중국을 비롯한 아랍과 유럽까지 수출됐다. 이런 향나무 중 하나인 ‘자단목(紫檀木)’은 인도가 원산지이고 스리랑카·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자라는 상록활엽교목이다. 심재(心材)가 붉은색을 띠어 자..

常識倉庫 2021.02.15

이케지메いけじめ [活け締め]

いけじめ [活け締め] 활어의 鰓蓋 속에 있는 머리뼈와 몸통뼈를 이어주는 부분과, 몸통과 꼬리가 이어지는 부분을 잘라 피를 뽑아내는 것 유비끼, 마스까와, 히비끼의 차이 유비끼, 마스까와, 히비끼의 차이 #생선회의 유비끼와 마스까와, 어떤 차이일까? 유비끼, 마스까와, 히비끼의 차이 작년 이맘때쯤 "우리가 잘못알고 있는 수산물 명칭들" 에 대해 포스팅 한적 있는데요. 우리가 흔히 접하는 횟� slds2.tistory.com 오마카세お任せ 개요 일본식 음식점의 요리사가 그날의 재료에 따라 음식을 만들어 주는 것을 뜻하는 일본어. '오마카세(お任せ)'는 '맡기다, 일임하다'라는 의미이며, 특히 식재료에서 계절과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 일본식 횟집이나 초밥집에서 많이 쓰이는 용어이다. '오마카세'로 주문하는 ..

常識倉庫 2020.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