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성과 창의성으로 축성된 한국 성곽의 정점 실용성과 창의성으로 축성된 한국 성곽의 정점 수원화성 한국의 성곽은 2천 년이 넘는 긴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한반도에만 해도 2천여 개를 훨씬 상회하는 성곽이 존재하고 있었다. 수천 년 동안 외세에 맞서 싸워 나라를 지켜낼 수 있었던 것은 나라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분연히 일어 .. 傳統文化 2019.11.23
한옥 창호의 종류 2 - 장지문, 분합문 그리고 한지 집의 내부로 들어가면 문은 더 다양해진다. 사대부집에서 격식을 갖추어 창호를 설치할 때는 제일 바깥쪽부터 두짝 띠살여닫이창-미닫이망사창-미닫이창-흑창-두겁닫이로 구성하였다. 여러 겹의 나무를 최소한의 문틀 위에 배치하려면 최대한 양질의 나무로 얇게 켜서 사용할 수밖에 없.. 傳統文化 2019.11.06
한옥 창호의 종류 1 - 벼락닫이창, 광창, 살창 문은 개폐방법과 용도, 장소, 구조, 기능 등으로 분류된다. 미닫이, 여닫이, 미서기, 붙박이, 들문, 벼락닫이 등은 개폐 방법에 따른 분류이고 분합문, 장지문, 영창, 중창, 대문, 중문, 후문, 삼문, 바라지, 꾀창 등은 용도 및 장소에 따른 분류이며 덧문, 빈지, 갑창, 두겁문, 맹장지, 불발기 .. 傳統文化 2019.11.06
중요무형문화재 제96호 옹기장 기능보유자 김일만 1941. 12. 13. ~ | 보유자 인정: 2010년 2월 11일 숨 쉬는 그릇, 옹기 옹기장(甕器匠)은 독과 항아리 등을 만드는 장인을 말한다. 옹기는 질그릇(진흙만으로 반죽해 구운 후 잿물을 입히지 않아 윤이 나지 않는 그릇)과 오지그릇(질그릇에 잿물을 입혀 구워 윤이 나고 단단한 그릇)을 총칭하는 말이었으나 근대 이후 질그릇의 사용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오지그릇을 지칭하는 말로 바뀌게 되었다. 옹기는 상고시대부터 제기, 식기, 솥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에서는 옹기 생산을 담당하는 와기전(瓦器典)이라는 기관을 두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서울과 지방에 100여 명의 옹기장을 두었다는 기록이 있다. 모든 나라마다 음식을 보관하는 그릇이나 용기가 있는데, 이것들은 .. 傳統文化 2019.09.11
오늘은 백중날, 머슴들을 위한 잔칫날 오늘은 백중날, 머슴들을 위한 잔칫날 속절의 하나인 백중날의 모든 것 오늘은 음력 7월 보름인 백중으로 철에 따라 사당이나 조상의 묘에 차례를 지내는 속절(俗節)이며 백종, 중원, 망혼일이라고도 한다. 백중의 어원과 유래 ▲ 백중날 세시풍속으로 농사가 가장 잘 된 집의 머슴을 소에 .. 傳統文化 2019.08.15
曝曬 포쇄 실록포쇄형지안 / 포쇄 실록포쇄형지안 / 포쇄 책을 바람에 쐬는 것 폭서(曝書)라고도 한다. 포쇄는 고도서에 한한 문제인데 책을 거풍(擧風:바람을 쐬는 것)시켜서 습기를 제거하여 부식 및 충해를 방지시킴으로써 서적을 오랫동안 보존하기 위한 것이다. 조선지나 중국지는 충해나 부.. 傳統文化 2019.08.12
“이런 공간은 한국뿐”…소수서원 등 9곳 세계유산 됐다 ‘한국의 서원’ 9곳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사진은 경북 안동 병산서원. 서애 류성룡을 기리는 서원으로, 1613년 건립됐다. [연합뉴스] [출처: 중앙일보] “이런 공간은 한국뿐”…소수서원 등 9곳 세계유산 됐다https://news.joins.com/article/23518358 書院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 傳統文化 2019.07.08
삼원삼재(三園三齋)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화가 중 '원園'자와 '재齋'자가 들어가는 사람이 세 사람 이었던 것에서 이들을 묶어 '삼원삼재(三園三齋)'라고 부릅니다. 호에 원(園)자가 들어간 '삼원'은 단원 김홍도(檀園 金弘道, 1745-1806이후), 혜원 신윤복(蕙園 申潤福, 약1758-1813이후), 오원 장승업(吾園 張承業, 1.. 傳統文化 2019.07.06
청성곡(淸聲曲, 청성자진한잎) 청성곡(淸聲曲, 청성자진한잎) 우리나라의 전통 성악곡인 가곡을 기악곡화한 변주곡으로 청성곡(淸聲曲) 또는 요천순일지곡(堯天舜日之曲)이라고도 한다. '청성'이란 '높은 음'이란 뜻이고, '자진'은 빠르다라는 뜻이며, '한'은 크다는 뜻이고, '잎'은 곡조라는 뜻이다. 따라서 청성 자진한.. 傳統文化 2019.07.06
비석의 분류 비석의 분류 비의 분류 보통 비의 분류는 ‘비신의 모양이 둥글면 갈(碣)이고, 그 외의 것을 표(表)’라고 하는데 이것은 형태만 보고 판단한 것이다. 비문의 내용 중 명(銘)이 없는 것은 묘표(墓表), 명과 묘갈명(墓碣銘)·묘갈명 병서(幷序)가 있으면 묘갈(墓碣), 신도비(神道碑)는 명과 신.. 傳統文化 2019.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