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은 개폐방법과 용도, 장소, 구조, 기능 등으로 분류된다. 미닫이, 여닫이, 미서기, 붙박이, 들문, 벼락닫이 등은 개폐 방법에 따른 분류이고 분합문, 장지문, 영창, 중창, 대문, 중문, 후문, 삼문, 바라지, 꾀창 등은 용도 및 장소에 따른 분류이며 덧문, 빈지, 갑창, 두겁문, 맹장지, 불발기 등은 구조·기능에 따른 분류이다. 이외에도 살의 모양이나 생김새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누어진다.
그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띠살(세살)창호이다. 여러 겹의 내부 문 위 두 짝의 외부덧창으로 사용될 때는 주로 머름 위에 설치된다. 본시 머름이 설치된 곳은 문이 아니라 창이기에 출입하지 않는 것이 예의였으나, 서민주택에서는 띠살창호만으로 출입구 겸 창의 역할을 대신했다. 대문을 열어 누가 찾아왔노라고 아뢰어줄 이가 없는 초가에선 외여닫이문 옆의 조그만 눈꼽재기창을 대신 열어 방의 온기를 보호하거나 환기를 시키기도 하였다.
띠살창호를 작게 만들어 행랑채 전면의 방화담 위나 방의 후벽에 가로로 눕혀 쓰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을 들창, 혹은 ‘벼락같이 닫힌다’ 하여 벼락닫이창이라 한다. 윗울거미와 윗창틀에 돌쩌귀를 달아 방 안에서 밖으로 밀어내 버팀쇠나 막대로 받쳐두었다. 위치가 키 높이 정도라 먼 산이나 하늘만 바라볼 수 있어 채광과 환기가 주요 목적이었다.
채광을 목적으로 하는 창에는 교창 혹은 광창도 있다. 亞자나 卍자살도 있으나 주로 교살무늬(빗살)를 이용하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부엌 벽이나 광의 벽 높은 곳, 다락같은 수장공간이나 처마가 깊은 한옥에서 마루나 방의 채광을 위하여 문의 상부에 가로로 길게 설치한다. 대부분 고정창이지만 창방 상부의 경우 비스듬히 열거나 미닫이로 처리할 때도 있다.
벼락닫이창
벼락닫이창은 '벼락같이 닫힌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조상들의 작명은 생긴 대로, 소리 나는 대로여서 자연스럽다.
|
광창
빛을 조금 더 끌어들이기 위해 설치한 창이라 하여 ‘광창’이라 부른다. 주로 교자나 격자 등의 살문을 쓴다.
|
|
가장 원시적인 형태의 창호는 살창이다. 삼국시대 가야의 집 모양 토기에서도 발견되듯이 그 역사가 가장 오래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창호지를 바르지 않고 창틀에 일정한 간격으로 살대를 꽂는데 살대의 모양, 간격, 깊이에 따라 채광과 환기의 성능은 달라진다. 부엌의 부뚜막 위에 설치하여 연기를 빼내고, 곳간이나 광 등 저장공간의 벽면에 설치하여 공기를 환기시켜 적당한 온습도를 유지해준다.
살창은 세로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꽂아 통풍을 도모하며, 주로 저장공간이나 부엌에 설치된다. 좀 더 기밀한 저장을 요할 땐 창호지를 바르기도 한다. 필요에 따라 벽체에 구멍을 뚫어 살만 끼워도 충분한 창의 구실을 한다.
| |
|
|
|
|
창호 (한옥 전통에서 현대로(한옥의 구성요소), 2008.8.7, 주택문화사)ㅣ네이버 지식백과
'傳統文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용성과 창의성으로 축성된 한국 성곽의 정점 (0) | 2019.11.23 |
---|---|
한옥 창호의 종류 2 - 장지문, 분합문 그리고 한지 (0) | 2019.11.06 |
중요무형문화재 제96호 옹기장 기능보유자 김일만 (0) | 2019.09.11 |
오늘은 백중날, 머슴들을 위한 잔칫날 (0) | 2019.08.15 |
曝曬 포쇄 (0) | 2019.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