溪山無盡-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계산무진(溪山無盡), 종이에 먹, 62.5x165.5㎝, 간송미술관 소장 이 글씨는 계산(溪山) 김수근(金洙根;1798~1854)에게 써준 것이다. “계산은 끝이 없구나”란 뜻이다. 김수근은 안동사람으로 자는 회부(晦夫), 호는 계산초로(溪山樵老)이다. 목사(牧使) 김인순(金麟淳)의 아들이다. 순조(純祖) 무.. 香遠益淸 2019.02.13
古藍 田琦 梅花草屋圖 古藍 田琦 梅花草屋圖 [고람 전기 매화초옥도] 종이에 담채. 32.4 x 36.1 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렇게 좋은 날 마음에 맞는 벗이 찾아 온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 그림은 그런 간절한 바램을 담고 있다. 매화꽃이 눈송이처럼 피어나던 날, 산속에 있는 초옥에서 선비하나가 문을 열어 놓은 .. 香遠益淸 2019.02.13
정민, 김홍도의 축원/ 심사정 `백로와 연밥`/ 김홍도 `게와 갈대` 70, 80살까지 오래오래… 김홍도의 축원 [정민 교수의 '그림 읽기 문화 읽기']'고양이와 나비' 정민 한양대 국문과 교수 살금살금 기어가던 고양이 위로 긴꼬리 제비나비 한 마리가 훨훨 날아든다. 서로 어우러져 호응하는 형세다. 앞쪽에는 듬성듬성 놓인 바위 사이에 빛깔이 다른 패랭이.. 香遠益淸 2019.02.11
김홍도 김홍도. 백로도. 병진년화첩, 1796년, 지본담채, 26.7 x 31.6cm, 호암미술관 소장. 근대화 속에서 잃어버린 우리의 땅들, 우리는 그 고느적한 습지들을 잃어버렸다. 내가 그것을 알게 된 것은 북한을 다녀오고서 였다. 그 곳의 천연의 손대지 않은 땅들을 보면서 '김단원이 그린 것은 이 들녘이.. 香遠益淸 2019.02.11
대한민국의 국보 고려청자, 도자기 모음 대한민국의 국보 고려청자, 도자기 모음 청자사자유개향로(靑磁獅子鈕蓋香爐) 국보 제60호 청자비룡형주자(靑磁飛龍形注子) - 국보 제61호 청자기린유개향로(靑磁麒麟鈕蓋香爐) 국보 제65호 청자상감유죽연로원앙문정병(靑磁象嵌柳竹蓮盧鴛鴦文淨甁) 국보 제66호 청자상감운학문매병(靑.. 香遠益淸 2019.02.04
梣溪 '梣溪' 以此二字轉承疋囑, 欲以隸寫, 而漢碑無第一字, 不敢妄作, 在心不忘者, 今已三十年矣, 近頗多讀北朝金石, 皆以楷隸合體書之, 隋唐來陳思王, 孟法師諸碑, 又其尤者, 仍仿其意, 寫就, 今可以報命, 而快酬夙志也. 阮堂幷書. * 발문 해석 이 두 글자를 부탁받고 예서로 쓰고자 했으나 한.. 香遠益淸 2019.01.04
전주의 유구한 역사를 담은 <완산부지도(完山府地圖)>, 보물로 지정 전주의 유구한 역사를 담은 <완산부지도(完山府地圖)>, 보물로 지정 국립전주박물관(관장 유병하)이 소장하고 있는 <완산부지도>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보물 제1876호 <완산부지도>는 전주부의 모습을 10폭 병풍 형식으로 제작한 지도이다. 제1폭과 제10폭은 후백제 이래 전주부.. 香遠益淸 2018.06.27
赤漆文<木+觀>木廚子 일본 왕실 보물창고에 있는 가구는 의자왕의 하사품일까 국립문화재연구소, 3월 7일 '쇼소인 유물' 심포지엄 쇼소인의 적칠문관목주자. [국립경주박물관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http://www.yonhapnews.co.kr/culture/2018/02/27/0901000000AKR20180227170300005.HTML 香遠益淸 2018.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