簞食瓢飮
공자의 수제자 안회(顔回)는 젊은 나이에 요절하였으나, 맹자와 함께 유교의 인물 중 공자 다음으로 자주 거론되는 인물이다.
“천상여(天喪予)! 천상여(天喪予)!” 원인도 모른 채 안회가 죽었을 때 공자는 이렇게 ‘하늘이 나를 버렸구나!’라고 외치며 통곡하였다. 공자가 73세의 인생을 살면서 그토록 애통하게 제자의 죽음에 슬퍼한 적은 없었다.
너무 슬피 우는 공자에게 어느 제자가 너무 애통해 한다고 하자, 공자는 ‘이 사람을 위해 울지 않으면 누구를 위해 우냐?’며 통곡했던 이야기는 스승의 제자에 대한 애절한 마음을 고스란히 전해주는 이야기다.
‘현명하다! 회야! 한 대죽그릇의 거친 밥과 한 표주박의 물을 먹으며, 누추한 빈민가에서 사는 것을, 다른 사람들은 그 근심을 감당하지 못하는데, 너는 그 가난 때문에 너의 인생의 즐거움을 바꾸지 않는구나! 현명하다! 안회야’
賢哉 回也! 一簞食 一瓢飮 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 回也!
일명 ‘거친 밥에 물 말아 먹고 사는 궁핍함 속에서도 즐거움을 찾는다.’는 ‘단사표음(簞食瓢飮)’의 고사도 안회에 대한 공자의 평가에서 유래된 이야기다. 이런 안회에 대한 평가 중에 가장 백미는 공자가 살던 노(魯)나라 임금이었던 애공(哀公)의 물음에 대한 공자의 대답이다. 공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이유로 안회야 말로 자신의 수제자임을 공인한다.
첫째 안회는 배우기를 좋아한 제자다.
호학(好學)이라! 배움은 공자의 영원한 삶의 주제였다. 공자는 스스로 배우는 자라고 칭하였고 그 배움의 결과를 전하는 선생이야 말로 그의 평생의 업이자 사명이었다. 그런 그의 삶의 방법에 가장 근접한 제자가 바로 안회였다.
둘째 안회는 자신의 분노를 남에게 옮기지 않았다.
불천노(不遷怒)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분노를 어디든 풀려고 한다. 그러나 안회는 자신의 분노를 속으로 삭이며 멈출 줄 알았던 인물이었다. 나의 분노를 주변 사람에게 전가하는 것처럼 비겁한 일은 없다.
셋째 안회는 한 번 저지른 과오를 두 번 다시 반복하지 않았다.
불이과(不二過)라!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할 수 있지만 두 번 반복한다면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한번 실수로 그칠 수 있는 그런 사람이었다. 잘못을 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그 잘못을 반복하는 것이 문제다. 잘못을 떳떳하게 인정하고 과감하게 고치는 사람이 진정 성공하는 자다.
분노를 참는 사람보다는 주변에 그 분노를 옮기지 않는 사람이 진정 아름다운 사람이다. 평생 배우기를 좋아하고, 남에게 화내지 않고, 잘못을 인정하며 고치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그런 삶을 살면 좋겠다.
'閑雲野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름다운 나라-김성록 (0) | 2021.02.17 |
---|---|
전기의 ‘매화초옥도(梅花草屋圖)’ (0) | 2021.02.13 |
Happy Birthday (0) | 2021.02.07 |
Now and Forever / Richard Marx (0) | 2021.01.31 |
세노야 / 김광희 (0) | 2021.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