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정도 병인 양하여/손종섭 지음/432쪽·1만3000원·김영사
한문학자인 손종섭 선생(91)이 시조 절창 300수를 소개하고 해설을 덧붙였다.
저자는 선인들의 한시를 국문학으로 복원하며 ‘옛 시정을 더듬어’ ‘우리말의 고저장단’ 등을 펴낸 원로학자.
책 제목은 고려시대 문신 이조년이 지은 시조의 한 대목에서 따왔다.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
은한(銀漢)이 삼경(三更)인 제
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야 알랴마는
다정(多情)도 병인 양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두견은 두우, 자규, 촉조, 촉혼, 시조, 접동새, 소쩍새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철새다.
그 울음소리가 ‘솟적솟적’ ‘접동접동’으로 들리기도 하고 ‘어쩜… 어쩜…’으로 들린다고도 한다.
전설에는 촉나라에서 쫓겨난 망제의 혼이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해 원한에 사무친 울음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시 속에 이 새가 등장하는 일도 빈번하다.
이런 설명과 함께 저자는 자규를 노래한 이유, 박효관, 단종 등의 시를 소개한다.
‘소리 멎은 새벽 산에 잔월은 흰데, 피로 흐르는 봄 골짝의 붉은 낙화여’(단종)
기다림과 그리움의 간절함을 노래한 황진이, 이명한의 시조, 절개와 우국을 노래한 정몽주,
이순신의 시조, 인륜과 도덕을 노래한 정철, 이황의 시조 등을 만나볼 수 있다.
'習靜偸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 꽃들 사랑인가 하여하여 - 김창진 (0) | 2019.05.29 |
---|---|
김병종의 화첩기행 - 예의 길을 가다 (0) | 2019.05.24 |
로맨틱 한시 - 이우성 (0) | 2019.04.09 |
연필로 쓰기 - 김훈 (0) | 2019.04.06 |
새로나온 책(교수신문) (0) | 2019.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