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이름의 유래를 찾아서
우리나라의 식물 이름은 다양한 단어의 조합으로 불려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식물의 이름은 꾸미는 말이 있어도 띄여쓰지 않는다.
예를 들자면, ‘큰꿩의비름’이라고 쓰지 큰 꿩의 비름’이라고 쓰지는 않는다.
우리나라의 식물 이름은 다양한 단어의 조합으로 불려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식물의 이름은 꾸미는 말이 있어도 띄여쓰지 않는다.
예를 들자면, ‘큰꿩의비름’이라고 쓰지 큰 꿩의 비름’이라고 쓰지는 않는다.
이때 특히 접두어가 다양하게 활용되는데, 접두어로 쓰이는 말에는 식물의 전체적인 느낌,
식물기관의 형태, 성질 및 숫자, 화학적 성분, 색깔, 냄새, 식물의 생활 습성, 식물의 활용, 동물이나
사물에 비유, 생육지, 신화(전설, 설화) 등을 표현한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몇가지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 자생지를 나타내는 말
○ 갯 : 해안이나 계곡, 냇가에서 자라는데 유래함.예) 갯개미취, 갯버들, 갯메꽃, 갯질경이
○ 골 : 습한 골짜기에서 자라는데 유래함. 예) 골고사리, 골등골나물, 골병꽃나무, 골사초
○ 구름 : 구름이 지나는 높은 산지에서 자라거나, 꽃과 잎의 생김새가 구름 같은데서 유래함.
◆ 자생지를 나타내는 말
○ 갯 : 해안이나 계곡, 냇가에서 자라는데 유래함.예) 갯개미취, 갯버들, 갯메꽃, 갯질경이
○ 골 : 습한 골짜기에서 자라는데 유래함. 예) 골고사리, 골등골나물, 골병꽃나무, 골사초
○ 구름 : 구름이 지나는 높은 산지에서 자라거나, 꽃과 잎의 생김새가 구름 같은데서 유래함.
예) 구름국화, 구름패랭이꽃, 구름제비꽃, 구름체꽃 등
○ 두메 : 고산지역에서 자라는데 유래함.
예) 두메양귀비, 두메투구꽃, 두메꿀풀, 두메냉이, 두메부추, 두메양지꽃, 두메잔대 등
○ 벌 : 벌판에서 자라는데 유래함.예) 벌개미취, 벌노랑이, 벌등골나물, 벌깨덩굴, 벌사초 등
○ 물 : 주로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는데 유래함.
예) 물봉선, 물싸리, 물골풀, 물머위, 물미나리아재비 등
○ 돌 : 야생 혹은 바위나 돌이 많은 곳에서 자라는데 유래함.
예) 돌단풍, 돌양지꽃, 돌나물, 돌앵초 등
○ 바위 : 바위에서 자라는데 유래함. 예) 바위솔, 바위채송화, 바위송이풀, 바위구절초 등
○ 산 : 높은 산에서 자라는데 유래함.
예) 산구절초, 산부추, 산수국, 산오이풀, 산용담, 산골무꽃 등
○ 섬 : 육지와는 멀리 떨어진 섬지방에서만 자생하는데서 유래함.대부분의 경우 울릉도 특산식물이다.
예) 섬갯장대, 섬국수나무, 섬기린초, 섬바다. 섬백리향, 섬쑥부쟁이, 섬자리공,
섬초롱꽃, 섬딸기, 섬제비꽃, 섬천남성 등
◆ 유사성을 나타내는 말
○ 참 : 진짜라는 의미 또는 기본종이라는 뜻에서 유래함
예) 참개별꽃, 참개암, 참나리, 참당귀, 참으아리, 참바위취, 참좁쌀풀 등
○ 나도 : 원래는 완전히 다른 분류에 속하지만 비슷하게 생긴데서 유래함.
○ 두메 : 고산지역에서 자라는데 유래함.
예) 두메양귀비, 두메투구꽃, 두메꿀풀, 두메냉이, 두메부추, 두메양지꽃, 두메잔대 등
○ 벌 : 벌판에서 자라는데 유래함.예) 벌개미취, 벌노랑이, 벌등골나물, 벌깨덩굴, 벌사초 등
○ 물 : 주로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는데 유래함.
예) 물봉선, 물싸리, 물골풀, 물머위, 물미나리아재비 등
○ 돌 : 야생 혹은 바위나 돌이 많은 곳에서 자라는데 유래함.
예) 돌단풍, 돌양지꽃, 돌나물, 돌앵초 등
○ 바위 : 바위에서 자라는데 유래함. 예) 바위솔, 바위채송화, 바위송이풀, 바위구절초 등
○ 산 : 높은 산에서 자라는데 유래함.
예) 산구절초, 산부추, 산수국, 산오이풀, 산용담, 산골무꽃 등
○ 섬 : 육지와는 멀리 떨어진 섬지방에서만 자생하는데서 유래함.대부분의 경우 울릉도 특산식물이다.
예) 섬갯장대, 섬국수나무, 섬기린초, 섬바다. 섬백리향, 섬쑥부쟁이, 섬자리공,
섬초롱꽃, 섬딸기, 섬제비꽃, 섬천남성 등
◆ 유사성을 나타내는 말
○ 참 : 진짜라는 의미 또는 기본종이라는 뜻에서 유래함
예) 참개별꽃, 참개암, 참나리, 참당귀, 참으아리, 참바위취, 참좁쌀풀 등
○ 나도 : 원래는 완전히 다른 분류에 속하지만 비슷하게 생긴데서 유래함.
예) 나도고추풀, 나도국수나무, 나도냉이, 나도바람꽃, 나도송이풀, 나도양지꽃, 나도옥잠화 등
○ 너도 : ‘나도’와 마찬가지로 다른 분류인데 비슷하게 생긴데서 유래함
예) 너도고랭이, 너도바람꽃, 너도골무꽃 등
○ 개 : 기본종에 비해서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르다고 여긴데서 유래함.
예) 개구릿대, 개다래, 개망초, 개머루, 개쑥부쟁이, 개여뀌, 개오동 등
○ 뱀 : 뱀과 관련이 있거나, 혹은 ‘개’와 마찬가지로 기본종에 비해서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른데서 유래함.
○ 너도 : ‘나도’와 마찬가지로 다른 분류인데 비슷하게 생긴데서 유래함
예) 너도고랭이, 너도바람꽃, 너도골무꽃 등
○ 개 : 기본종에 비해서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르다고 여긴데서 유래함.
예) 개구릿대, 개다래, 개망초, 개머루, 개쑥부쟁이, 개여뀌, 개오동 등
○ 뱀 : 뱀과 관련이 있거나, 혹은 ‘개’와 마찬가지로 기본종에 비해서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른데서 유래함.
예) 뱀고사리, 뱀무, 뱀딸기 등
○ 새 : ‘개’와 마찬가지로 기본종에 비해서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르다고 여긴데서 유래함.
○ 새 : ‘개’와 마찬가지로 기본종에 비해서 품질이 낮거나 모양이 다르다고 여긴데서 유래함.
예) 새머루, 새모래덩굴, 새콩, 새팥, 새삼, 새사초 등
◆ 식물의 생김새를 나타내는 말
○ 가는 : 잎이 가는 데서 비롯함 예) 가는잎구절초, 가는잎돌쩌기, 가는장구채, 가는오이풀 등
○ 가시 : 가시가 있음 예) 가시여뀌, 가시연꽃, 가시오가피, 가시엉겅퀴 등
○ 갈퀴 : 갈퀴가 있는데서 비롯함 예) 갈퀴나물, 갈퀴덩굴, 갈퀴꼭두서니 등
○ 긴 : 꽃 또는 식물체의 일부분이 긴 데서 유래함 예) 긴담배풀, 긴병꽃풀, 긴사상자, 긴산꼬리풀 등
○ 끈끈이 : 끈끈한 즙액이 있는데서 비롯함 예) 끈끈이귀이개, 끈끈이대나물, 끈끈이주걱, 끈끈이장구채 등
○ 선 : 줄기가 곧게 선데서 유래함 예) 선괭이밥, 선사초, 선이질풀, 선씀바귀, 선제비꽃, 선괭이눈, 선메꽃 등
○ 우산 : 잎이 우산처럼 생긴데서 유래함. 예) 우산나물, 우산잔대, 우산방동사니
○ 털 : 식물체에 털이 있는데서 유래함. 예) 털머위, 털사철난, 털별꽃아재비, 털여뀌, 털딱지꽃 등
○ 톱 : 잎에 톱모양의 거치가 있는데서 유래함. 예) 톱잔대, 톱풀, 톱바위취, 톱분취 등
◆ 색깔을 나타내는 말
○ 금, 은 : 식물체 또는 꽃의 색깔에서 유래함. 예) 금마타리, 금붓꽃, 금새우난초, 금꿩의다리 등
○ 광대 : 식물체의 색깔이 광대와 같이 울긋불긋한 데서 유래함.
예) 광대싸리, 광대버섯, 광대작약, 광대나물, 광대수염 등
◆ 식물체의 크기를 나타내는 말
○ 각시 : 식물체의 키가 작은데서 유래함 예) 각시둥글레, 각시붓꽃, 각시원추리, 각시제비꽃, 각시취 등
○ 땅 : 식물체의 키가 작거나, 꽃의 방향에서 유래함. 예) 땅나리, 땅비싸리, 땅채송화, 땅귀이개 등
○ 애기 : 초형이나 키가 작은 데서 유래함. 예) 애기괭이눈, 애기나리, 애기마름 애기원추리, 애기현호색 등
○ 왜 : 키가 작거나 일본이 원산지인 경우임 예) 왜개연꽃, 왜솜다리, 왜승마, 왜현호색, 왜제비꽃 왜당귀, 왜골무꽃 등
○ 좀 : 키가 작거나 꽃이 작은 데서 유래함. 예) 좀고추나무, 좀비비추, 좀꿩의다리, 좀냉이, 좀붓꽃 등
○ 병아리 : 키가 작음 예) 병아리난초, 병아리풀, 병아리다리 등
○ 큰 : 초형이나 키가 큼 예) 큰개별꽃, 큰꿩의비름, 큰구슬붕이, 큰까치수염, 큰꽃으아리 등
○ 왕 : 키가 큰데서 유래함 예) 왕고들빼기, 왕바랭이, 왕제비꽃, 왕원추리, 왕골, 왕갈대 등
○ 참 : 초형이나 키가 큰 데서 유래함. 예) 참갈퀴덩굴, 참개암, 참나리, 참당귀, 참고추냉이, 참꿩의다리 등
○ 말 : 초형이나 키가 큰데서 유래함. 예) 말나리, 말냉이, 말냉이장구채 등
○ 수리 : 초형이나 키가 큰데서 유래함. 예) 수리취
○ 선, 눈 : 식물체가 서있거나 누워있는 데서 유래함. 예) 선가래, 선괭이눈, 선괭이밥,
◆ 식물의 생김새를 나타내는 말
○ 가는 : 잎이 가는 데서 비롯함 예) 가는잎구절초, 가는잎돌쩌기, 가는장구채, 가는오이풀 등
○ 가시 : 가시가 있음 예) 가시여뀌, 가시연꽃, 가시오가피, 가시엉겅퀴 등
○ 갈퀴 : 갈퀴가 있는데서 비롯함 예) 갈퀴나물, 갈퀴덩굴, 갈퀴꼭두서니 등
○ 긴 : 꽃 또는 식물체의 일부분이 긴 데서 유래함 예) 긴담배풀, 긴병꽃풀, 긴사상자, 긴산꼬리풀 등
○ 끈끈이 : 끈끈한 즙액이 있는데서 비롯함 예) 끈끈이귀이개, 끈끈이대나물, 끈끈이주걱, 끈끈이장구채 등
○ 선 : 줄기가 곧게 선데서 유래함 예) 선괭이밥, 선사초, 선이질풀, 선씀바귀, 선제비꽃, 선괭이눈, 선메꽃 등
○ 우산 : 잎이 우산처럼 생긴데서 유래함. 예) 우산나물, 우산잔대, 우산방동사니
○ 털 : 식물체에 털이 있는데서 유래함. 예) 털머위, 털사철난, 털별꽃아재비, 털여뀌, 털딱지꽃 등
○ 톱 : 잎에 톱모양의 거치가 있는데서 유래함. 예) 톱잔대, 톱풀, 톱바위취, 톱분취 등
◆ 색깔을 나타내는 말
○ 금, 은 : 식물체 또는 꽃의 색깔에서 유래함. 예) 금마타리, 금붓꽃, 금새우난초, 금꿩의다리 등
○ 광대 : 식물체의 색깔이 광대와 같이 울긋불긋한 데서 유래함.
예) 광대싸리, 광대버섯, 광대작약, 광대나물, 광대수염 등
◆ 식물체의 크기를 나타내는 말
○ 각시 : 식물체의 키가 작은데서 유래함 예) 각시둥글레, 각시붓꽃, 각시원추리, 각시제비꽃, 각시취 등
○ 땅 : 식물체의 키가 작거나, 꽃의 방향에서 유래함. 예) 땅나리, 땅비싸리, 땅채송화, 땅귀이개 등
○ 애기 : 초형이나 키가 작은 데서 유래함. 예) 애기괭이눈, 애기나리, 애기마름 애기원추리, 애기현호색 등
○ 왜 : 키가 작거나 일본이 원산지인 경우임 예) 왜개연꽃, 왜솜다리, 왜승마, 왜현호색, 왜제비꽃 왜당귀, 왜골무꽃 등
○ 좀 : 키가 작거나 꽃이 작은 데서 유래함. 예) 좀고추나무, 좀비비추, 좀꿩의다리, 좀냉이, 좀붓꽃 등
○ 병아리 : 키가 작음 예) 병아리난초, 병아리풀, 병아리다리 등
○ 큰 : 초형이나 키가 큼 예) 큰개별꽃, 큰꿩의비름, 큰구슬붕이, 큰까치수염, 큰꽃으아리 등
○ 왕 : 키가 큰데서 유래함 예) 왕고들빼기, 왕바랭이, 왕제비꽃, 왕원추리, 왕골, 왕갈대 등
○ 참 : 초형이나 키가 큰 데서 유래함. 예) 참갈퀴덩굴, 참개암, 참나리, 참당귀, 참고추냉이, 참꿩의다리 등
○ 말 : 초형이나 키가 큰데서 유래함. 예) 말나리, 말냉이, 말냉이장구채 등
○ 수리 : 초형이나 키가 큰데서 유래함. 예) 수리취
○ 선, 눈 : 식물체가 서있거나 누워있는 데서 유래함. 예) 선가래, 선괭이눈, 선괭이밥,
선메꽃 / 눈개승마, 눈개쑥부쟁이, 눈범의꼬리, 눈비름 등
♥재미있는 들꽃이름의 유래♥
각시붓꽃: 봄나들이 가는 각시처럼 예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갯개미취 : 민간에서 이뇨제. 진해제 거담제 등의 약으로 쓰인다.
갯벌에서 자라기 때문에 갯개미취라 부르며
개미취와 비슷하지만 여러 포기가 군생하는 것이 다르다.
개미취와 비슷하지만 여러 포기가 군생하는 것이 다르다.
겨우살이 : 다른 나무에 붙어서 겨울을 '겨우 겨우 살아가는 신세'
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
구절초 : (선모초(仙母草), 구절초(九折草)구절초 5월 단오 때는
다섯 마디가 되고 9월 9일이면 아홉마디가 된다고 하여
구절초(九折草)라고 부르며, 시리도록 흰 모양이 신선보다
구절초(九折草)라고 부르며, 시리도록 흰 모양이 신선보다
더 돋보인다고 해서 선모초(仙母草)라고도 한다.
금강초롱꽃 : 금강산 지역에서 발견된 꽃으로 그 모양이 초롱같다 하여
금강초롱꽃 : 금강산 지역에서 발견된 꽃으로 그 모양이 초롱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깽깽이풀 : 가냘픈 보라빛의 꽃송이는 만지기만 해도 금방 깽깽거리고
울음을 터트릴 것 같은 소녀의 모습을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
꽃며누리밥풀 : 꽃잎에 그려진 무늬가 꽃 같은 며누리의 입술에
묻은 밥풀 같아서 붙여진 이름.
꿀풀 : (꿀방망이, 제비풀, 가지골나물, 하고초(夏枯草) 향기가 짙은
그 작은 꽃 속에는 많은 꿀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꿀풀'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대표적인 밀원식물이다.
'꿀풀'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대표적인 밀원식물이다.
꿩의 다리 : 줄기의 모양이 꿩의 다리와 같아 서 붙여진 이름
노루귀 : (장이세신(獐耳細辛), 파설초(破雪草), 설할초(雪割草)
새싹이 돋아날 때 잎이 말려서 나오는데 잎 뒷면에 흰털이
돋아 난 모양이 마치 노루의 귀와 비슷한 모양이어서 붙여진 이름
노루발풀 : 하얀 눈이 쌓인 산기슭에 보이는 파란 잎이 귀여운
노루의 발자국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
노루오줌풀 : 잎을 만지면 노루오줌 냄새가 나서 붙여진 이름
노린재나무 : 나뭇잎을 태우면 노란색 재가 남아서 붙여진 이름
누리장나무 : 잎사귀에서 누린내가 나서 붙여진 이름
돌단풍 : 바위나 돌 틈에 붙어서 자라는 다년생 식물로 잎새가
단풍잎같이 생겼다.
동의나물 : 꽃이 피어날 때 봉오리진 모습이 물동이 같다 하여
동의나물이라고 한다.
말채나물 : 손에 닿는 나무 줄기를 꺾어 잎을 훑으면 말채찍으로
사용하기 좋아서 붙인 이름
며누리주머니(금낭화) : 며누리가 치마 속에다 차고 다니던 주머니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
물레나물 : 꽃의 모양이 물레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물매화 : 물기가 많은 습한 곳에서 피는 꽃으로 매화꽃 모양 같이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
뱀딸기 : 뱀딸기 밭에는 뱀이 많다보니까 붙여진 이름 .
범부채 : 꽃잎의 검은 점이 표범의 무늬처럼 생겼고 좁고 긴 잎이
여러 장 겹쳐 나 있는 모습이 부채모양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
복수초(福壽草) : 말 그대로 행복(福)과 장수(壽)를 기원하는 풀이라는
뜻이다. 눈 속에서 피기 때문에「얼음꽃」이라고도
하며 꽃말도 「봄의 미소」로 봄을 알리는 전령사이다.
설날에 복( 福 )과 수( 壽 )를 축원하기 위하여 바쳐진
설날에 복( 福 )과 수( 壽 )를 축원하기 위하여 바쳐진
꽃이어서 붙여진 이름.
복주머니꽃(개불알꽃) : 옛날 어른들은 주머니를 예쁘게 만들어
허리춤에 차고 다녔는데 이 꽃 모양이
꼭 예쁜 주머니 (개불알)같다하여 붙여진 이름
꼭 예쁜 주머니 (개불알)같다하여 붙여진 이름
부처꽃 : 부처님 앞에 주로 헌화되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산부추 : 잎. 줄기를 뜯어서 문지르거나 으깨면 마늘 냄새가 나고 잎의
모양이 부추같이 생겨서 붙여진 이름
산오이풀 : 높은 산에서 자라고 있는 여러해살이 풀로 잎을 따서
문지르면 잎에서 오이 냄새가 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산함박꽃(산작약) : 깊은 산에서 볼 수 있고 숙근성 식물로 꽃의 모양이
산함박꽃(산작약) : 깊은 산에서 볼 수 있고 숙근성 식물로 꽃의 모양이
함지박처럼 크고 넉넉하게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
삼지구엽초 : 뿌리에서 나온 줄기의 가지가 셋으로 갈라졌다가
다시 셋으로 갈라져 가지 끝에는 9장의 잎을 달고 있다
솜다리 : 높은 산에서만 고고하게 자라고 있는 솜다리는 식물 전체가
솜 같은 고운 융털로 덮여 있어서
마치 솜이불로 덮여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마치 솜이불로 덮여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수련 : 물 속에서 자라는 연이므로 붙여진 이름
애기똥풀 : 애기똥풀은 다른 풀에 비해 줄기가 연약하다.
줄기나 잎을 자르면 이상하게도 노란 진액이 퐁하고 솟아
동그랗게 방울져 맺힌다. 어찌보면 예쁜 애기의 샛노란
동그랗게 방울져 맺힌다. 어찌보면 예쁜 애기의 샛노란
똥같이 느껴진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약재로 쓰이고 있다.
약모밀(어성초) : 울릉도, 제주도의 습지에서 자생하고 있는 약용
식물이다. 잎의 모양이 메밀 잎 같이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 이다. 얼핏보면 고구마 덩굴처럼 옆으로 길게 뻗어가며
자라는 다년초로 주로 뿌리줄기로 무성하게 번식한다.
꽃잎을 건드리면 생선비린내 같은 독특한 냄새가 나고 있어
꽃잎을 건드리면 생선비린내 같은 독특한 냄새가 나고 있어
일명 <어성초>라고 한다.
여름국화(금불초) : 국화같이 생긴 꽃이 여름에 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억새 : (새때비, 웍살, 으억다리, 으악새) "내 몸에 손대지 말아요.
내 몸에는 무서운 칼날을 품고 있어요"
잎은 가장자리가 칼같이 날카로워 잘못 만지다가는
잎은 가장자리가 칼같이 날카로워 잘못 만지다가는
손을 베게 되어 억세다하여 붙여진 이름
우산나물 : 9갈래로 갈라진 잎은 찢어져 살만 남은 우산을 활짝 펴놓은
것처럼 보여서 붙여진 이름
은방울꽃 : 영란(鈴蘭), 군영초(君影草), 오월화(五月花), 향수화(香水花)
꽃 모양에서 유래되었는데,
낚시방울같이 길이가 짧은 종 모양의 꽃이 꽃대 위에 줄지어
낚시방울같이 길이가 짧은 종 모양의 꽃이 꽃대 위에 줄지어
피어 있는 모습이 마치 은방울을 달아 놓은 것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이질풀 : 아무리 심한 설사라도 이 풀을 먹으면 즉시 멎는다고 하여서
붙여진 이름
제비꽃 :보라 빛 얼굴로 방긋 웃는 꽃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올 때면
핀다하여 붙여진 이름
족두리풀 : 꽃은 보라색으로 꽃 모양이 새 색시들이 시집갈 때 쓰던
족두리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참나리 : 나리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이중에 이 식물이
진짜 나리라 하여 참나리라고 부른다.
처녀치마 : 수줍은 아가씨의 치마모습과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
초롱꽃 : 청사초롱 불 밝히는 초롱을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
칼잎용담 : 잎이 칼같이 뽀쪽하게 용하게 생겨서 붙여진 이름
투구꽃 : 보라색 투구꽃을 보면 옛날 유럽의 병사들이 머리에는
투구를 쓰고 손에는 방패와 창을 들고 서있는 모습 같다.
꽃이 투구모양를 하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팔손이 (총각나무, 팔각금반, 팔금반- 생약명) :잎이 여덟 갈래로
여덟 개 손가락 모양을 한다고 해서
팔손이란 이름이 붙었지만 7~9 개인 것도 있다.
팔손이란 이름이 붙었지만 7~9 개인 것도 있다.
패랭이꽃 : 패랭이꽃은 그 모양이 모자인 패랭이를 재켜 놓은 것 같이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피나물 : 피나물은 잎이나 줄기를 자르면 상처에 피 같은 붉은 색의
액이 맺혀 얻어진 이름이다.
상처 난 줄기가 흰 옷깃에 스치면 몸에 성처가 난 게 아닌가
상처 난 줄기가 흰 옷깃에 스치면 몸에 성처가 난 게 아닌가
하고 깜짝 놀라기도 한다
할미꽃 : 젊어 있거나 늙어 있거나 허리가 꼬부라져 있다. 할미꽃은
할머니를 닮아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꽃이 지고 나면 할머니의 흰 머리카락 같은 긴 털이 바람에
꽃이 지고 나면 할머니의 흰 머리카락 같은 긴 털이 바람에
나부끼어 백두옹(白頭翁)이라 고도 한다.
홀아비꽃대 : 혼자 사는 아버지처럼 줄기가 외대로 나와 가지 없이
쓸쓸히 서있어서 붙여진 이름.
<참고:네이버,다음>
<참고도서>
![](http://image.aladdin.co.kr/cover/cover/8961410288_1.jpg)
<저자의 말>
꽃 이름을 알게 되면 꽃이 새롭게 보입니다.
우리 꽃 이름에는 식물의 특성이 함축되어 있는 것,
시대상이 반영된 것, 우리 조상들의 애환이 서려 있는 것 등 많은 수수께끼가 숨어 있습니다.
그 수수께끼를 풀다 보면 이내 꽃과 친해졌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겉모습만 보아왔던 꽃의 마음까지도 읽을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도 꽃과 친해지고 꽃의 마음까지도 읽을 수 있는 꽃 이름에 대한 논의와 자료는 거의 없는 실정입니다.
안타까운 마음에 우리 꽃 개개의 형태, 식물학 및 민속학적 특성, 그리고 이름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에 우리 꽃 개개의 형태, 식물학 및 민속학적 특성, 그리고 이름에 대한
옛 이름, 중국 이름, 일본 이름, 영어 이름 및 학명의 뜻과 어원을 찾은 다음 현재의 이름과 상관성을 분석하였습니다.
('머리말' 중에서)
'순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짜개 (0) | 2018.11.15 |
---|---|
살피꽃밭 (0) | 2018.11.15 |
비이름 (0) | 2018.01.23 |
라온제나: '행복한 나' (0) | 2017.12.24 |
재미있고 유익한 순우리말 사전 (0) | 2017.12.24 |